본문 바로가기
서오리 일상(feat. 진돗개&진도믹스)/기타 반려견에 관한

단미사료 배합사료 보조사료

by 서오리엄마 2023. 9. 27.

사료란

 

제 반려견은 화식을 먹고 있습니다. 사료는 반려견의 안정감을 위해 밥그릇에 담아 놓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있고 실제로 사료를 먹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대부분의 반려견들이 주식으로 먹고 있고 반려견의 건강과 직결되는 부분이므로 오늘은 사료를 법령에서 어떻게 정의 내리고 있는지 알려드리려 포스팅합니다. 사료관리법에서 말하는 “사료”란 「축산법」에 따른 가축이나 그 밖에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동물ㆍ어류 등(이하 “동물등”이라 한다)에 영양이 되거나 그 건강유지 또는 성장에 필요한 것으로서 단미사료(單味飼料)ㆍ배합사료(配合飼料) 및 보조사료(補助飼料)를 말합니다. 다만, 동물용의약으로서 섭취하는 것은 제외합니다.

사료관리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3. 3. 23.>
1. “사료”란 「축산법」에 따른 가축이나 그 밖에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동물ㆍ어류 등(이하 “동물등”이라 한다)에 영양이 되거나 그 건강유지 또는 성장에 필요한 것으로서 단미사료(單味飼料)ㆍ배합사료(配合飼料) 및 보조사료(補助飼料)를 말한다. 다만, 동물용의약으로서 섭취하는 것을 제외한다.

 

사료의 종류

  • 단미사료
  • 배합사료
  • 보조사료

 

  • 단미사료

식물성ㆍ동물성 또는 광물성 물질로서 사료로 직접 사용되거나 배합사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 단미사료의 범위

구 분 사료종류 명 칭
1. 식물성
















































































가. 곡류(곡물)

1) 귀리(연맥), 메밀(교맥), 밀(소맥), 보리(대맥), 수수, 쌀, 옥수수, 조, 트리티케일, 피, 호밀(호맥),
2) 1)의 곡류 1차 가공품 또는 싸라기[예 : 귀리 1차 가공품, 귀리 싸라기]
3) 혼합곡물, 혼합곡물 1차 가공품, 혼합곡물 싸라기
나. 강피류
(곡물부산물류)
기장피, 귀리겨, 당밀흡착강피류, 대두피, 땅콩피, 루핀피, 말분, 면실피, 밀기울(소맥피), 보릿겨(맥강), 수수겨, 쌀겨(미강[탈지 포함]), 아몬드피, 옥수수단백피(옥수수글루텐피드), 옥수수피, 율무피, 조겨, 커피원두피, 케슈너트피, 해바라기피, 혼합강피류
다. 박류(단백질류) 겨자박, 고추씨박, 구아박, 귀리박, 농축단백질, 대두박[전지대두 가공품을 포함], 들깨박(임자박), 땅콩박, 맥주박, 면실박, 밀글루텐, 밀배아박, 아마인박, 아몬드박, 야자박(코코넛박), 양구슬냉이박, 앵속실박, 옥수수글루텐, 옥수수배아박, 올리브박, 장유박, 전분박, 주정박[DDGS, 포도주박, 자두주박, 전통주박 등 포함], 참깨박(호마박), 채종박(카놀라박), 케슈너트박, 케이폭박, 팜유박(팜박), 포도씨박, 피마자박, 해바라기씨박, 호두씨박, 혼합박류
라. 서류 감자, 고구마, 돼지감자, 카사바(매니옥), 혼합서류
마. 식품가공부산물류 감자가공부산물, 과실류가공부산물, 당밀, 도토리부산물, 밤가공부산물, 비타민류가공부산물, 쌀농후침지액, 아미노산발효부산물, 엿류부산물, 옥수수농후침지액, 음료가공부산물, 제과ㆍ제빵ㆍ제면부산물[초콜릿부산물 포함], 조미료부산물, 채소가공부산물, 콩류가공부산물[비지 포함, 대두박은 제외], 파당[폐당 포함], 혼합식품가공부산물
바. 조류 1) 거대조류 갈래곰보, 갈파래, 감태, 곰피, 김, 꼬시래기, 다시마, 돌가사리, 둥근돌김, 뜸부기, 매생이, 모자반, 미역, 불등가사리, 석묵, 우뭇가사리, 지충이, 진두발, 청각, 톳, 파래, 피마톨리톤 칼카륨
2) 미세조류 난노클로롭시스, 두나리엘라, 스피루리나(스피룰리나), 아이소크라이시스, 클로렐라, 키토세로스, 탈라시오시라, 테트라셀미스, 파블로바, 해마토코쿠스 플루비알리스
3) 기타 해조분, 혼합조류
사. 섬유질류 1) 목초 네이피어그라스, 달리스그라스, 라디노클로버, 레드톱, 로즈그라스, 리드카나리그라스, 밀건초, 바히아그라스, 버뮤다그라스, 버즈푸트레포일, 벤트그라스, 붉은토끼풀(레드클로버), 브라키아리아그라스, 브롬그라스, 블루그라스, 쉬프그라스(양초), 알팔파[베일, 펠릿, 큐브 포함], 앨사이크클로버, 연맥건초, 에뉴얼라이그라스, 오차드그라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켄터키블루그라스, 클라인그라스, 테프그라스, 토끼풀(화이트클로버), 톨페스큐, 티모시, 파인 페스큐, 페레니얼라이그라스, 페스큐

2) 풋베기사료작물 새싹보리, 수단그라스, 자운영, 청예갈대, 청예귀리, 청예밀, 청예보리, 청예벼, 청예수수, 청예옥수수, 청예유채, 청예피, 청예호밀

3) 고간류 귀리짚, 밀짚, 볏짚, 보릿짚, 수수대, 옥수수대

4) 가공ㆍ발효사료 섬유질가공사료, 섬유질발효사료

5) 기타 감귤박, 곡류정선부산물(GSP), 버섯재배부산물, 병풀 잎 분말, 사과박, 사탕무박(비트펄프), 사탕수수박(버개스), 인동(잎, 줄기), 양잠부산물, 어성초, 옥수수속대, 이질풀(잎), 커피박, 코코아박(카카오박), 케나프, 톱밥[곤충류에 한 함], 파인애플박, 혼합섬유질
아. 제약부산물류 이노시톨박, 인삼박
자. 유지류

대두유, 대마씨유, 면실유, 미강유, 식물성혼합유, 식물성식용잔유[정제된 것에 한 함], 아마인유, 야자유, 옥수수유, 채종유(카놀라유), 팜유, 해바라기유
차. 전분류 곡류전분[α-화 전분 포함], 서류전분[α-화 전분 포함], 혼합전분
카. 콩류 누에콩, 대두, 렌즈콩(렌틸콩), 루핀, 완두, 이집트콩, 혼합콩류
타. 견과ㆍ종실류 면실, 아마인, 유채씨(평지씨), 참깨, 카나리아씨드, 케슈너트, 케이폭, 피스타치오, 해바라기씨, 홍화씨, 혼합견과, 혼합견과종실류, 혼합종실
파. 과실류 딸기, 로즈힙, 망고, 바나나, 배, 사과, 산사자, 용안육, 코코넛(야자), 키위, 파인애플, 파파야, 혼합과실
하. 채소류 가지, 당근, 무, 마카 뿌리, 사탕무, 삼채(잎), 삼채(뿌리), 시금치, 오이, 치커리(뿌리), 토마토, 호박, 혼합채소
거. 버섯류 노루궁뎅이버섯(자실체), 느타리버섯(자실체), 영지버섯(자실체), 잎새버섯(자실체), 큰느타리버섯(자실체), 표고버섯(자실체), 혼합버섯
너. 기타 식물류 모링가 잎 분말, 뽕잎, 쑥, 인동(꽃봉오리), 차, 화분(꽃가루)
2. 동물성



가. 단백질류 가금부산물건조분[도축 및 가금도축부산물, 계육분 포함], 가죽, 감마루스, 건어포, 게분, 계란분말[난황 및 난백분말 등 가공품을 포함], 골뱅이분, 동물성단백질혼합분, 모발분, 부화장부산물건조분, 새우분, 수지박[우지박, 돈지박을 포함], 어분[어류의 가공품 및 부산물 포함], 어즙, 어즙흡착사료, 오징어분, 우모분, 유도단백질[가수분해, 효소처리 등을 한 것을 포함], 육골분, 육골포, 육분, 육즙흡착사료, 육어포, 육포, 제각분, 혈액가공품[혈장단백 및 혈분을 제외], 혈분, 혈장단백
나. 무기물류 골분, 골회, 난각분, 어골분, 어골회, 패분, 혼합무기물, 가공뼈다귀, 녹각
다. 유지류 곤충유, 닭기름(계유), 동물성식용잔유[정제된 것에 한함], 동물성혼합유지, 돼지기름(돈지), 소기름(우지), 양기름(양지), 어류기름(어유), 오리기름, 초록입홍합추출오일
라. 곤충류 거저리유충(밀웜・슈퍼밀웜), 건조귀뚜라미, 건조메뚜기, 동애등에유충, 번데기[번데기박을 포함], 장구벌레, 파리유충, 혼합곤충
마. 플랑크톤류 로티퍼, 마이시스슈림프, 물벼룩, 알테미아(브라인슈림프), 코페포다, 크릴, 혼합플랑크톤
바. 낙농가공부산물류 유당, 유장, 유조제품, 전지분유, 치즈[치즈밀 포함], 탈지분유, 혼합낙농가공부산물
3. 광물성

가. 식염류 가공소금, 정제소금[소금산업진흥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화학부산물소금을 제외], 천일염,
나. 인산염류 및 칼슘염류 1) 인산염류 소성인산석회, 제일인산나트륨(인산일나트륨)[구. 인산이수소나트륨], 제이인산나트륨(인산이나트륨, 인산수소이나트륨)[구. 인산일수소나트륨], 제삼인산나트륨(인산삼나트륨)[구. 인산나크륨], 제일인산칼륨(산성인산칼륨)[구. 인산이수소칼륨], 제이인산칼륨(인산이칼륨)[구. 인산일수소칼륨], 제삼인산칼륨(인산삼칼륨)[구. 인산칼륨], 제일인산칼슘(MCP, 인산1칼슘, 산성인산칼슘), 제이인산칼슘(DCP, 인산2칼슘, 인산수소칼슘), 제삼인산칼슘(TCP, 인산3칼슘), 혼합인산칼슘(MDCP)
2) 칼슘염류 마그네슘석회석분말, 석고, 석회석분말, 탄산칼슘, 황산칼슘
다. 다량광물질류 다량광물질-단백질화합물, 다량광물질-아미노산복합물, 다량광물질-아미노산킬레이트,, 염화칼륨, 유황(법제유황, 제독유황), 엠에스엠(디메틸설폰), 탄산마그네슘, 탄산칼륨(무수),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칼륨
라. 미량광물질류 구연산철, 몰리브덴산나트륨, 몰리브덴산암모늄, 미량광물질-단백질화합물, 미량광물질-아미노산복합물, 미량광물질-아미노산킬레이트, 산화아연, 삼염기염화동, 셀렌산나트륨, 아셀렌산나트륨, 아연하이드록시염화물, 염화크롬, 요오드산칼륨, 요오드산칼슘, 요오드화칼륨, 크롬프로피온산, 초산아연, 탄산망간, 탄산아연, 탄산코발트, 펩타이드구리(펩타이드동), 펩타이드망간, 펩타이드아연, 펩타이드철, 푸말산제1철, 호박산구연산소다제1철, 황산제1철, 황산구리(황산동), 황산망간, 황산아연, 황산아연메치오닌, 황산코발트
마. 혼합광물질류 인산염류 합제, 칼슘염류 합제, 다량광물질류 합제, 미량광물질류 합제, 혼합광물질류 합제[인산염류부터 미량광물질류의 합제를 말함]
4. 기타

가. 유지류 글리세린, 분말유지, 불해성지방(보호지방), 혼합성유지
나. 단세포단백질 불활성박테리아[보조사료-미생물제-유익균에 한 함], 불활성효모[보조사료-미생물제-유익효모에 한 함], 혼합단세포단백질
다. 남은음식물 남은음식물사료(축종명)
라. 반려동물음용수 반려동물음용수
마. 기타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5. 혼합성 가. 혼합제 혼합성 단미사료[둘 이상의 단미사료를 혼합한 것으로 각각의 단미사료는 혼합 전에 개별 단미사료의 기준 및 규격 등(열처리, 수분 등)을 충족하여야 함]
애완용 동물의 간식용, 영양보충용은 소량의 보조사료(보존제와 향미제에 한함)를 첨가 가능
※ 1. 식물성 ~ 4. 기타의 합제류 및 혼합류 사료를 제외한 것을 말한다.
보조사료 중 규산염제와 완충제는 광물성사료에 혼합시 단미사료로 인정하여 혼합광물질로 분류 가능

* ( ) 안의 명칭은 병행하여 표기할 수 있으며, [ ] 안의 내용은 해당 물질에 대한 규격 및 기준 등을 의미함2배합사료

 

  • 배합사료

단미사료ㆍ보조사료 등을 적정한 비율로 배합 또는 가공한 것으로서 용도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배합사료의 범위

사료종류 축종 명칭
1. 양축용
배합사료









































가. 고기소 어린송아지, 육성우, 번식우, 종모우, 임신우, 포유우, 큰소전기, 큰소후기
나. 젖소 젖소어린송아지, 젖소중송아지, 젖소큰송아지, 젖소임신우, 젖소종모우, 비유초기, 비유중기, 비유말기, 건유기, 고능력우
다. 돼지 포유자돈, 이유돈, 육성돈, 비육돈, 번식용 모돈, 임신돈, 포유돈
라. 닭 산란용어린병아리, 산란용중병아리, 산란용큰병아리, 산란전, 산란초기, 산란중기, 산란말기, 산란종계, 육용종계, 육용어린병아리, 육용중병아리, 육계초기, 육계전기, 육계후기
마. 오리 육용오리전기, 육용오리후기, 종오리용어린오리, 종오리용육성오리, 종오리용산란오리
바. 개 어린개, 육성개, 큰개
사. 꿩 어린꿩, 육성꿩, 큰꿩
아. 말 어린말, 육성말, 큰말
자. 메추리 어린메추리, 육성메추리, 큰메추리, 산란메추리
차. 사슴 어린사슴, 육성사슴, 큰사슴
카. 양 어린면양, 육성면양, 큰면양, 어린염소(산양), 육성염소(산양), 큰염소(산양)
타. 오소리 어린오소리, 육성오소리, 큰오소리
파. 칠면조 어린칠면조, 육성칠면조, 큰칠면조
하. 타조 어린타조, 육성타조, 큰타조, 산란타조
거. 토끼 어린토끼, 육성토끼, 큰토끼
너. 거위 어린거위, 육성거위, 큰거위, 산란거위
더. 노새 어린노새, 육성노새, 큰노새
러. 당나귀 어린당나귀, 육성당나귀, 큰당나귀
머. 꿀벌 꿀벌
버. 지렁이 지렁이
버의2, 곤충 「축산법」에 따른 곤충의 명칭에 따라 제조업자가 정함
서. 배합사료원료 농가 자가배합사료 원료, 기초배합사료
어. 특수배합사료 광물성배합사료(미네랄블럭), 양축용 영양보충제, 양축용 건강보조제
2. 프리믹스용
배합사료
가. 전체 축종별로 구분
* “프리믹스용 배합사료“라 함은 주로 배합사료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사료로서 비타민제와 미량광물질류를 주 원료로 하고 여기에 필요에 따라 아미노산제 등의 보조사료와 부형제를 혼합하여 균질화한 것을 말함
3. 대용유용
배합사료
가. 전체 축우용대용유, 양돈용대용유, 주문용대용유
* “대용유용배합사료“라 함은 주로 어린(갓난)가축에게 급여하기 위하여 제조하는 사료로서 교차오염방지를 위하여 반드시 대용유용배합사료 제조시설(규칙 별표 1)에서 주로 유당, 유장, 유조제품을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비타민제 등의 보조ㆍ단미사료를 첨가하여 제조한 배합사료를 말함
4. 섬유질 배합사료





가. 고기소 어린송아지, 육성우, 큰소전기, 큰소후기, 번식우
* "섬유질 배합사료"라 함은 섬유질사료를 분쇄, 가열 등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거나, 수분조절 또는 기호성 증진을 위하여 곡류, 강피류, 박류, 식품가공부산물류, 광물질류 또는 보조사료를 첨가한 후 균체, 효모 등을 이용하여 인공 또는 자연적으로 발효시킨 것으로서 조섬유의 함량이 건물기준으로 15% 이상인 것(다만, 큰소비육 단계의 경우 10% 이상)
나. 젖소 젖소어린송아지, 젖소큰송아지, 비유기, 건유기
나의2. 말 양축용 배합사료의 명칭에 준하여 성장단계별로 제조업자가 정함
다. 기타
반추동물
5. 그 밖의
동물ㆍ어류용
배합사료



가. 실험용동물 실험용 동물별 사료명칭 및 사용범위는 제3조의 규정에 의한 동물명에 의거 성장단계별로 구분하여 제조업자가 정함
나. 애완용동물 완용 동물별 사료명칭 및 사용범위는 제3조의 규정에 의한 동물명에 의거 성장단계별로 구분하여 제조업자가 정함.
다. 사육하는
동물
사육하는 동물별 사료명칭 및 사용범위는 제3조의 규정에 의한 동물명에 의거 성장단계별로 구분하여 제조업자가 정함
라. 수산동물 어종별 사료명칭 및 사용범위는 어종별 및 성장단계별 등으로 구분하여 제조업자가 정함
* 반건조배합사료(SEP, Soft Extrude Pellet 혹은 Semi-moist pellet<반습사료>)라 함은 수분함량이 25% 내외로 70℃에서 사료제조과정을 거친 다음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냉각처리 후 포장되어 냉동 유통되는 양식수산동물용 배합사료로서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해 운반시 뭉게지기 쉽고, 특히 여름철에는 운반 및 보관시 산패․변패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 저온 보관이 필요함

 

  • 보조사료

사료의 품질저하 방지 또는 사료의 효용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에 첨가하는 것으로서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보조사료의 범위

사료종류 명 칭
1.


가. 천연결착제 구아검, 리그닌술폰산염(리그닌설폰산염), 셀룰로오스, 송진, 젤라틴, 천연검, 카제인, 콜라겐
나. 합성결착제 알긴산나트륨, 알긴산암모늄, 알긴산칼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제인나트륨, 폴리메틸로카바마이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다. 합제 천연결착제 합제, 합성결착제 합제, 결착제 합제[천연결착제와 합성결착제의 합제를 말함]
2. 유화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메타인산나트륨,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아릴젖산나트륨, 스테아릴젖산칼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인산나트륨, 프로필렌글리콜, 유화제 합제, 스테아릴젖산나트륨
3.
보존제
가. 산미제 DL-사과산, DL-주석산, L-주석산, 개미산, 개미산수소칼륨, 개미산칼슘, 구연산, 글루콘산, 글루콘산칼슘, 낙산(부티르산), 낙산나트륨, 낙산칼슘,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인산, 젖산, 초산, 푸말산(푸마르산), 호박산
나. 항응고제 실리카(이산화규소), 스테아린산칼슘, 염화주석, 탤크, 화이트카본, 활성탄
다. 항산화제 레스베라트롤, 메타중아황산나트륨, 몰식자산, 몰식자산프로필,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비타민 E(dl-α-토코페롤), 에톡시킨, 케르세틴
라.항곰팡이제 프로피온산, 프로피온산나트륨, 프로피온산칼슘
마 합제 산미제 합제, 항응고제 합제, 항산화제 합제, 항곰팡이제 합제, 보존제 합제[산미제부터 항곰팡이제의 합제를 말함]
4. 아미노산제 DL-메치오닌(DL-메티오닌), DL-메치오닌수산화유도체(MHA), DL-메치오닌수산화유도체이소프로필에스테르, DL-메치오닌수산화유도체 칼슘염, DL-알라닌, DL-트레오닌철, DL-트립토판, L-글루타민산, L-라이신, L-라이신염산염, L-라이신황산염, L-메치오닌(L-메티오닌), L-발린, L-시스틴, L-알기닌(L-아지닌, L-아르기닌), L-이소로이신, L-트레오닌, L-트립토판, L-히스티딘, L-히스티딘염산염, L󰠅시스테인염산염, 아미노초산(글라이신), 타우린, 아미노산제 합제, L-로이신
5. 비타민제
(프로비타민제 포함)
L-카르니틴, 나이아신(니아신ㆍ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비오틴(비타민H), 비타민A분말(레티놀분말), 비타민A유(레티놀오일), 비타민B1, 비타민B1나프탈린-1,5-디설폰산염(치아민나프탈린-1,5-디설폰산염), 비타민B1라우릴황산염(치아민 라우릴황산염), 비타민B1로단산염(치아민 티오시안산염), 비타민B1염산염(치아민 염산염), 비타민B1질산염(치아민 질산염), 비타민B2(리보플라빈), 비타민B2인산에스테르나트륨(리보플라빈 5'-인산에스테르나트륨), 비타민B6염산염(피리독신 염산염), 비타민B12(시아노코발라민), 비타민C(L-아스콜빈산), 비타민C칼슘염(L-아스콜빈산 칼슘염), 비타민C-2인산마그네슘염(L-아스콜빈산-2-인산에스테르 마그네슘), L-아스콜빈산-2-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비타민C나트륨염(L-아스콜빈산 나트륨염), 비타민D분말(칼시페롤분말), 비타민D2(칼시페롤), 비타민D3(콜레칼시페롤), 비타민E(dl-α-토코페롤), 비타민E아세테이트(dl-α-토코페릴아세테이트), d-α-비타민E아세테이트, 비타민K1(파일로퀴논) 비타민K3(메나디온), 비타민K3아황산나트륨염(메나디온 아황산나트륨염), 비타민K3아황산니코틴아마이드(메나디온 아황산 니코틴아마이드), 비타민K4(아세토메나프톤), 염화콜린, 엽산, 이노시톨, 주석산수소콜린, 판토텐산, 프로비타민A(β-카로틴), 비타민제 합제
6.


가. 당분해효소 글루코아밀라아제, 락타아제, 리소짐, 말토게닉아밀라아제, 셀룰라아제, 엑소글루카나아제, 엔도글루카나아제, 키시라나제, 키토사나아제, 펙티나아제, 헤미셀룰라아제, α-갈락토시다아제, α-아밀라아제, β-글루카나아제, β-만난아제, β-아밀라아제
나. 지방분해효소 리파아제
다. 인분해효소 피타아제
라. 단백질분해효소 산성(곰팡이성)프로테아제, 식물성프로테아제[브로멜라인 포함], 알칼리성(세균성)프로테아제, 중성프로테아제
라의2. 산화환원효소 글루코오스산화효소
마. 합제 당분해효소 합제, 지방분해효소 합제, 인분해효소 합제, 단백질분해효소 합제, 효소제 합제[당분해효소부터 단백질분해효소의 합제를 말함]
7. 미










가. 유익균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락토바실러스 페롤렌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로돕슈도모나스 캡슐레이타, 바실러스 렌투스,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세레우스[도요이에 한함], 바실러스 코아글란스,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바실러스 푸밀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비피도박테리움 서모필럼, 비피도박테리움 슈도롱검,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엔테로코커스 락티스, 엔테로코커스 써모필러스, 엔테로코커스 훼시엄, 웨이셀라 시바리아,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컴, 페디오코커스 세레비시에,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유익균 배양물
나. 유익곰팡이 모나스커스 퍼퓨리어스,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아스퍼질러스 오리제
다. 유익효모 맥주효모[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시에에 한 함], 양조효모[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시에에 한 함], 잔토필로마이세스 덴드로하우스, 제빵효모[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시에에 한 함], 조사건조효모, 토룰라효모, 피키아 파리노사, 효모배양물[유익효모의 배양물에 한 함]
라. 박테리오파지 대장균 박테리오파지, 살모넬라 갈리나룸 박테리오파지, 살모넬라 엔테라이티디스 박테리오파지,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박테리오파지,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박테리오파지
마. 합제 유익균 합제, 유익곰팡이 합제, 유익효모 합제, 박테리오파지 합제, 미생물제 합제[유익균부터 박테리오파지의 합제를 말함]
8. 향미제 가. 착향료 천연착향료[별표 6에서 허용하는 천연착향료에 한 한다], 합성착향료[별표 6에서 허용하는 합성착향료에 한 한다]
나. 감미료 감초, 과당, 네오탐, 네오헤스페리딘디하이드로칼콘, D-소르비톨, 맥아당(말토오스, 엿당), 사카린나트륨, 설탕(자당ㆍ백당ㆍ수크로오스), 수크랄로스, 스테비아, 스테비올배당체, 아니스, 원당, 엿류(물엿, 기타엿, 덱스트린), 캐러멜(카라멜), 캐롭, 포도당(글루코오스), 효소처리스테비아
다. 조미료 강황(울금, 심황), 계피, L-글루타민산나트륨, 마늘, 생강, 안젤리카,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5‘-구아닐산이나트륨, 5'-이노신산이나트륨, 카레, 캐러웨이, 향신료올레오레진
라. 합제 착향료 합제, 감미료 합제, 조미료 합제, 향미제 합제(착향료부터 조미료 합제를 말함)
9. 비단백태질소
화합물
당밀요소, 디우레이드이소부탄, 비우렛, 요소, 인산암모늄, 인산요소, 전분요소, 황산암모늄, 비단백태질소화합물 합제, 염화암모늄
10. 규산염제 견운모, 고령토(카올린), 규조토, 맥반석, 몬모릴로나이트, 버미큘라이트, 벤토나이트, 세피올라이트, 에타폴자이트,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흑운모, 규산염제 합제
11. 완충제 산화마그네슘, 세스퀴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소다회), 중조(탄산수소나트륨ㆍ중탄산나트륨), 완충제 합제
12.
착색제
가. 천연 천연착색제[식품첨가물공전에서 허용하는 색소에 한한다]
나. 합성 아스타키산틴(아스타잔틴), 아포카로텐산 에스테르, 칸탄산틴(칸타잔틴)
다. 합제 천연착색제 합제, 합성착색제 합제, 착색제 합제
13.
추출제
가. 초목(草木)
추출물
가시오갈피추출물, 감초추출물, 금잔화추출물(루테인, 마리골드 색소 포함), 도라지추출물, 라즈베리추출물, 목초액, 밀크씨슬추출물, 사철쑥추출물, 아티초크추출물, 우엉추출물, 유카추출물, 차추출물, 천연비테인(베타인), 치커리추출물, 칡뿌리추출물, 퀼라야(퀼레아), 타히보추출물, 황금뿌리추출물
나. 종자
추출물
달맞이꽃씨추출물, 자몽종자추출물, 포도종자추출물, 해바라기씨추출물, 호로파추출물, 참깨유추출물
다. 세포벽
추출물
글루칸, 만난
라. 동물
추출물
누에추출물, 키토산, 키틴
마. 기타 과실 및 과채추출물, 노간주열매추출물, 마늘추출물, 반추위추출물, 생강추출물, 콜라너트추출물, 타우마틴(토마틴), 프로폴리스추출물, 케슈너트쉘추출물, 해초, 해조추출물, 효모추출물
바. 합제 추출제 합제
14. 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대두올리고당을 포함], 겐티오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키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올리고당 합제
15. 기 타 글루코사민, 글루콘산나트륨, 라우린산, 락툴로즈, 라우린산, 시스테아민염산염, 식물스테롤[식물스테롤에스테르 포함], 비테인염산염(베타인염산염), 팔미트산, 코엔자임Q10, 식이섬유, 차전자피식이섬유
16. 혼합제 혼합성 보조사료[둘 이상의 보조사료를 혼합한 것으로 각각의 보조사료는 혼합 전에 개별 보조사료의 기준 및 규격 등을 충족하여야 한다.]

* ( ) 안의 명칭은 병행하여 표기할 수 있으며, [ ] 안의 내용은 해당 물질에 대한 규격 및 기준 등을 의미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