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류 위험물의 종류와 특성
제1류 위험물은 산화성 고체로 품명 및 지정수량, 위험등급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험물 | 지정수량 (허가기준) |
위험등급 (운반기준) |
||
유별 | 성질 | 품명 | ||
제1류 | 산화성고체 *제6류 위험물 산화성 액 체 |
1. 아염소산염류 | 50kg | Ⅰ등급 |
2. 염소산염류 | ||||
3. 과염소산염류 | ||||
4. 무기과산화물(*무기: C×, 금속 포함) 물기엄금 | ||||
5. 브롬산염류 | 300kg | Ⅱ등급 | ||
6. 질산염류 | ||||
7. 요오드산염류 | ||||
8. 과망간산염류 | 1,000kg | Ⅲ등급 | ||
9. 중크롬산염류 |
제1류 위험물의 종류
Ⅰ등급 | |||
지정수량 | 품 명 | 물질명 | 화학식 |
50kg | 1.아염소산염류 | 아염소산나트륨 | NaClO2 |
2.염소산염류 | 염소산칼륨 | KClO3 | |
염소산나트륨 | NaClO3 | ||
염소산암모늄 | NH4ClO3 | ||
3.과염소산염류 | 과염소산칼륨 | KClO4 | |
과염소산나트륨 | NaClO4 | ||
과염소산암모늄 | NH4ClO4 | ||
4.무기과산화물 |
과산화칼륨 | K2O2 | |
과산화나트륨 | Na2O2 | ||
과산화마그네슘 | MgO2 | ||
과산화칼슘 | CaO2 | ||
과산화바륨 | BaO2 | ||
5.차아염소산염류 | 차아염소산나트륨 | NaClO |
Ⅱ등급 | |||
지정수량 | 품 명 | 물질명 | 화학식 |
300kg | 5.브롬산염류 | 브롬산칼륨 | KBrO3 |
브롬산나트륨 | NaBrO3 | ||
6.질산염류 | 질산칼륨 | KNO3 | |
질산나트륨 | NaNO3 | ||
질산암모늄 | NH4NO3 | ||
질산은 | AgNO3 | ||
7.요오드산염류 | 요오드산칼륨,칼슘 | KIO3, Ca(IO3)2 | |
1.과요오드산염류 | 과요오드산나트륨, 과요오드산칼륨 |
NaIO4 KIO4 |
|
2.과요오드산 | 과요오드산 | HIO4 | |
3.크롬,납 또는 요오드의 산화물 |
무수크롬산(삼산화크롬) 이산화납,사산화삼납 |
CrO3, PbO2, Pb3O4 | |
4.아질산염류 | 아질산나트륨,아질산칼륨 | NaNO2, KNO2 | |
*6.염소화 이소시아눌산 |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눌산 | C3Cl3N3O3 | |
7.퍼옥소(과산화) 이황산염류 |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
K2S2O8 Na2S2O8 |
|
8.퍼옥소붕산염류 | 과붕산나트륨 | NaBO3〮4H2O |
Ⅲ등급 | |||
지정수량 | 품 명 | 물질명 | 화학식 |
1000kg | 8.과망간산염류 | 과망간산칼륨 | KMnO4 |
과망간산나트륨 | NaMnO4 | ||
과망간산칼슘 | Ca(MnO4)2 | ||
9.중크롬산염류 | 중크롬산칼륨 | K2Cr2O7 | |
중크롬산나트륨 | Na2Cr2O7 | ||
중크롬산암모늄 | (NH4)2Cr2O7 | ||
*10. 그 밖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것/ 50kg, 300kg, 1000kg |
*회색으로 칠한 부분은 위험물기능장용입니다.
위험물기능장용
(2)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위험물과 지정수량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1장 제3조(위험물 품명의 지정)
제1류 위험물
㉠차아염소산염류 : 지정수량50kg(위험등급Ⅰ등급)
㉡과요오드산 : 지정수량300kg(위험등급Ⅱ등급)
㉢과요오드산염류 : 지정수량300kg(위험등급Ⅱ등급)
㉣크롬, 납 또는 요오드의 산화물 : 지정수량300kg(위험등급Ⅱ등급)
㉤아질산염류 : 지정수량300kg(위험등급Ⅱ등급)
㉥염소화이소시아눌산 : 지정수량300kg(위험등급Ⅱ등급)
㉦퍼옥소이황산염류 : 지정수량300kg(위험등급Ⅱ등급)
㉧퍼옥소붕산염류 : 지정수량300kg(위험등급Ⅱ등급)
유별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자체적으로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가연물의 연소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소화방법은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의 경우 금수성 물질이므로 탄산수소염류분말, 건조사, 팽창질석 또는 팽창진주암으로 질식소화합니다.
*금수성물질: 제1류위험물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제2류위험물 철분·금속분·마그네슘, 제3류위험물 금수성물품 →탄산수소염류분말, 건조사, 팽창질석 또는 팽창진주암으로 질식소화 |
■ 제1류위험물 소화설비의 적응성
*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17] 소화설비. 경보설비 및 피난설비의 기준
소화설비의 구분 |
대상물 구분 | |||||||||||||
건 축 물 · 그 밖 의 공 작 물 |
전 기 설 비 |
제1류 | 제2류 | 제3류 | 제 4 류 위 험 물 |
제 5 류 위 험 물 |
제 6 류 위 험 물 |
|||||||
위험물 | 위험물 | 위험물 | ||||||||||||
알 칼 리 금 속 과 산 화 물 등 |
그 밖 의 것 |
철 분 · 금 속 분 · 마 그 네 슘 등 |
인 화 성 고 체 |
그 밖 의 것 |
금 수 성 물 품 |
그 밖 의 것 |
||||||||
옥내소화전 또는 옥외소화전설비 | ○ | ○ | ○ | ○ | ○ | ○ | ○ | |||||||
스프링클러설비 | ○ | ○ | ○ | ○ | ○ | △ | ○ | ○ | ||||||
물 분 무 등 소 화 설 비 |
물분무소화설비 | ○ | ○ | ○ | ○ | ○ | ○ | ○ | ○ | ○ | ||||
포소화설비 | ○ | ○ | ○ | ○ | ○ | ○ | ○ | ○ | ||||||
불활성가스소화설비 | ○ | ○ | ○ | |||||||||||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 ○ | ○ | ○ | |||||||||||
분말 소화설비 |
인산염류등 | ○ | ○ | ○ | ○ | ○ | ○ | ○ | ||||||
탄산수소염류등 | ○ | ○ | ○ | ○ | ○ | ○ | ||||||||
그 밖의 것 | ○ | ○ | ○ | |||||||||||
대 형 · 소 형 수 동 식 소 화 기 |
봉상수(棒狀水)소화기 | ○ | ○ | ○ | ○ | ○ | ○ | ○ | ||||||
무상수(霧狀水)소화기 | ○ | ○ | ○ | ○ | ○ | ○ | ○ | ○ | ||||||
봉상강화액소화기 | ○ | ○ | ○ | ○ | ○ | ○ | ○ | |||||||
무상강화액소화기 | ○ | ○ | ○ | ○ | ○ | ○ | ○ | ○ | ○ | |||||
포소화기 | ○ | ○ | ○ | ○ | ○ | ○ | ○ | ○ | ||||||
이산화탄소소화기 | ○ | ○ | ○ | △ | ||||||||||
할로겐화합물소화기 | ○ | ○ | ○ | |||||||||||
분말 소화기 |
인산염류소화기 | ○ | ○ | ○ | ○ | ○ | ○ | ○ | ||||||
탄산수소염류소화기 | ○ | ○ | ○ | ○ | ○ | ○ | ||||||||
그 밖의 것 | ○ | ○ | ○ | |||||||||||
기 타 |
물통 또는 수조 | ○ | ○ | ○ | ○ | ○ | ○ | ○ | ||||||
건조사 | ○ | ○ | ○ | ○ | ○ | ○ | ○ | ○ | ○ | ○ | ||||
팽창질석 또는 팽창진주암 | ○ | ○ | ○ | ○ | ○ | ○ | ○ | ○ | ○ | ○ |
[제1류위험물 소화설비의 적응성 암기팁]
소화설비의 적응성은 모든 유별을 다 이해하고 암기하셔야 합니다. 제1류위험물은 같은 성질을 갖는 제6류위험물과 같이 공부하시면 좋습니다. 산화성고체인 제1류위험물과 산화성액체인 제6류위험물 모두 유별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자체적으로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가연물의 연소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소화방법은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제1류위험물 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의 경우 금수성 물질이므로 탄산수소염류분말, 건조사, 팽창질석 또는 팽창진주암으로 질식소화합니다. 나머지 위험물은 제1류위험물과 제6류위험물의 적응성 있는 소화설비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단, 제6류위험물은 이산화탄소소화기 적응성이 세모인것만 따로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금수성물질: 제1류위험물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제2류위험물 철분·금속분·마그네슘, 제3류위험물 금수성물품 →탄산수소염류분말, 건조사, 팽창질석 또는 팽창진주암으로 질식소화 |
제1류 위험물 반응식
앞으로 제1류 위험물부터 제6류 위험물까지의 특성과 반응식을 차례대로 올려드릴 텐데, 주로 출제되는 반응식의 형태는 왜 이 위험물이 위험한지에 대해 이야기해주는 반응식을 출제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제1류 위험물은 산화성 고체이므로 열분해시 다량의 산소를 방출하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따라서 제1류 위험물의 경우 각 물질의 분해반응식이 주로 출제 됩니다.
또한 무기과산화물의 경우 금수성 물질이므로 당연히 물과 닿으면 산소를 방출하며 폭발적으로 반응합니다. 당연히 무기과산화물의 경우 물과의 반응식을 묻습니다. 또한 무기과산화물의 경우 이산화탄소와 반응했을 때 역시 산소가 나오는데, 이는 무기과산화물 소화에 이산화탄소 소화기를 사용할 수 없는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이산화탄소 소화기를 사용할 경우 화재를 더 촉진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기본적으로 제1류 위험물 산화성 고체 반응식의 생성물에는 산소가 나온다는 것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산소가 나오기 때문에 화기나 가연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운반용기 주의사항과 게시판 주의사항도 반응식의 생성물을 연결해서 공부하시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제1류위험물 운반용기 주의사항
그외: 화기•충격주의, 가연물접촉주의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화기•충격주의,가연물접촉주의, 물기엄금
■ 제1류위험물 게시판 주의사항
그외: 없음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물기엄금
아래에 첨부해 드리는 엑셀파일은 제1류 위험물의 반응식을 정리한 것입니다.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빨간색으로 표시한 반응식 위주로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두 번째 장에는 생성물과 반응식 칸을 지웠으니 여러 장 출력하셔서 복습하시기 바랍니다.
'위험물산업기사,위험물기능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류위험물 종류 - 특성, 반응식 (3) | 2023.06.13 |
---|---|
제2류위험물 종류 - 특성, 반응식 (2) | 2023.06.13 |
제조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 중 Ⅳ. 건축물의 구조 (0) | 2023.05.31 |
옥내저장소 공지의 너비 (0) | 2023.05.31 |
방화상 유효한 담의 높이 (0) | 2023.05.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