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10

2023년 7월 재산세(주택 1/2, 건물분) 납기일은 2023년 7월 31일 월요일까지 2023년 재산세 납부기한 매년 7월, 9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입니다. 재산세는 과세기준일(매년 6. 1.) 현재 소유자를 대상으로 매년 7월과 9월에 부과되는데, 7월에는 주택(1/2), 건축물, 항공기 등이 납부대상이고, 9월에는 나머지 주택(1/2)과 토지가 납부대상입니다. 9월 재산세의 경우 납부기한이 토요일·공휴일인 관계로 10월 2일까지 납기 내 금액으로 납부 가능하며, 납부기한을 넘기면 3%의 가산금을 추가로 부담해야 합니다. 7월 재산세 납부기한 2023-07-31 월요일 9월 재산세 납부기한 2023-10-02 월요일 일 자 내 용 7.16~31 주택의 1/2 건축물 선박·항공기 9.16~30 주택의 1/2 토지 ※ 주택분 재산세의 세액이 20만 원 이하인 경우 구청의 조례에 따라 7월에.. 2023. 5. 23.
쯔유 계란장 쯔유 계란장 드셔 보셨나요? 지인에게 쯔유를 선물 받았습니다. 직접 만든 쯔유 선물은 처음 받아 본 건데요, 무척 기분이 좋았답니다. 신나서 이 요리 저 요리 도전해 봅니다. 쯔유 계란장은 끓이지 않고도 삶은 계란에 쯔유를 부어 놓고 2~3일 숙성시켜 놓았다 먹어도 되는데요, 저는 끓여서 바로 먹기로 합니다. 바로 먹고 싶으니까요~ 여기서 잠깐, 쯔유란? 쯔유는 일본식 만능 간장으로 다시마, 가쓰오부시를 우려낸 육수에 간장을 섞어 만든 일본 전통 간장입니다. 쯔유는 가락국수나 메밀 소바, 오야꼬동을 비롯한 덮밥 요리, 일본의 가정식 요리에 두루두루 활용됩니다. 쯔유 계란장 재료 계란 쯔유 물 청양고추,홍고추 만드는 법 1. 냄비에 계란을 먹고 싶은 만큼 넣고 삶습니다. (끓기 시작할 때 6분간 더 삶습니.. 2023. 5. 22.
쯔유 계란밥 아침식사 간단한요리 간단한아침식사 쯔유 있으시다고요? 추억의 간장계란밥 어떠세요? 지인에게 쯔유를 선물 받았습니다. 어제부터 쯔유를 활용한 요리 이것저것을 시도하고 있는데요, 오늘 바로 해 먹었던 쯔유 계란밥이 맛있어서 바로 포스팅합니다. 쯔유만 있다면 만드는데 5분도 걸리지 않는 아주 간단한 요리입니다. 바쁜 아침, 간장계란밥의 추억을 소환하는 쯔유 계란밥 어떠신가요? 물론 쯔유가 없으시면 간장 계란밥으로 해 드셔도 되고요. 쯔유 계란밥은 쯔유 특유의 가쓰오부시 향 때문에 더 감칠맛이 느껴진답니다. 따로 반찬이 없어도 쯔유 계란밥만 있어도 한 끼 든든한 식사가 됩니다. 같이 만들어 보시죠~ 쯔유 계란밥 재료(1인분 기준) 쯔유, 참기름 계란 1~2개, 버터(생략가능) 밥, 김 만드는 법 1. 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계란프라이를 합니다.. 2023. 5. 22.
2024 최저임금 2023년 적용 최저임금 시간급 9,620원 고용노동부 최저임금위원회 사무국에서는 2022년 06월 30일 배포한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2023년 적용 최저임금을 발표하였습니다. 최저임금 시간급은 2022년 대비 460원, 5.0% 인상된 9,620원이며 이를 월 단위로 환산하면 주 40시간 기준, 월 209시간 일 했을 경우 2,010,580원이 됩니다. 노사 양측은 2023년 적용 최저임금 제3차 제시안 및 제4차 제시안을 제출하여 논의를 이어갔으나 입장 차이를 좁히진 못하였습니다. 이에 최저임금위원회 박준식 위언장은 논의의 진전을 위해 공익위원이 제시한 심의촉진 구간 내에서 노사 양측에 추가 수정안 제출을 요구하였으나 양측은 수정안을 제출하지 않았으며, 공익위원에게 단일안 제시를 요청하였습니다. 공익.. 2023. 5. 22.
2023년도 건강보험료율 직장인 건강보험료율 건강보험료 건강보험 인상 2023년도 건강 및 장기요양보험료율 인상 안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2023년도 건강 및 장기요양보험료율 인상 안내를 2022년 11월 28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습니다. 인상된 건강보험료의 적용기간은 2023년 1월부터 12월까지입니다.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의료비 증가와 지속적인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등으로 2023년도 1월부터 보험료율이 아래와 같이 인상됨을 알려드립니다. □ 건강보험료율 : 1.49% 인상 ○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율 : 6.99%(2022년) → 7.09%(2023년) - 보수월액보험료(월) : 보수월액 × 보험료율(7.09%) ※ 근로자와 사용자가 각각 50%씩 부담 - 소득월액보험료(월) : 소득월액 × 7.09% ※ 소득월액 = {(연간 보수외소득 – 2,000만원) /.. 2023. 5. 22.
국민연금 가입자 가입증명 발급 방법(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가입자 가입증명이 필요한 경우 직장에 다니고 있거나 직장을 옮기는 경우 또는 퇴사를 한 경우 자신의 국민연금 가입 내역을 알고 싶은 경우가 생깁니다. 또는 현직장에서 전 직장의 경력 확인을 위해 경력확인서와 더불어 추가로 제출을 요청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국민연금 가입자 가입증명의 경우 인증서만 있으면 언제든지 개인이 인터넷으로 바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와 함께 가입자의 취득, 상실 이력이 모두 나와 있어 개인의 직장 가입 경력을 확인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증명서이기도 합니다. 퇴사한 경우 전 직장에서 4대 보험 퇴사신고를 정확히 했는지, 입사한 경우 입사신고를 정확히 했는지도 이 서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국민연금 가입자 가입증명이란? 국민연금 가입내역.. 2023. 5. 22.
건강검진 전년도미수검자 추가신청 방법(국민건강보험공단) 작년에 건강검진 대상자였는데 검진시기를 놓쳤을 경우 대한민국 국민은 특정한 시기마다 건강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건강검진은 해당 연도 12월 31일까지 완료해야 하는데요, 부득이한 사정으로 검진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당해연도 검진대상은 아니지만, 전년도 검진을 받지 않으셨다면 공단 지사 방문 또는 고객센터(1577-1000)로 신청하실 경우 추가로 검진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인터넷으로 신청하는 것이 가장 편하겠지요? 전년도 건강검진을 받지 않으신 경우 간단한 클릭 몇 번으로 추가건강검진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건강검진이란? 건강검진은 건강보험가입자들의 건강을 유지·증진하고,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며 장기적으로 보험급여비의 지출을 줄이고자 198.. 2023. 5. 22.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발급 방법(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가 필요한 경우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국민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습니다. 직장에 다닐 때는 '직장가입자'로 직장을 다니지 않는 경우에도 '지역가입자'로 가입되어 있답니다.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의 원래 목적은 개인의 건강보험 자격확인용이지만 가입자의 건강보험 취득, 상실 이력이 모두 나와 있어 개인의 직장 가입 경력을 확인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증명서이기도 합니다. 퇴사한 경우 전 직장에서 4대 보험 퇴사신고를 정확히 했는지, 입사한 경우 입사신고를 정확히 했는지도 이 서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란?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란, 가입자(개인) 또는 가입자였던 자의 건강보험자격득실 내역을 확인하는 증명서로 다음의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입자구.. 2023. 5. 22.